땅 위에 마시멜로우

김형주
의도된 불일치

김형주 개인전 : 땅 위에 마시멜로우
2023.10.13.-11.02.

김형주 작가의 신작 < 땅 위의 마시멜로 >는 얌전하고 귀엽다는 느낌과 함께 마치 어떤 무늬를 보는 듯한 장식적인 아름다움이 우선 눈에 띤다. 패턴처럼 배열된 반복과 규칙성을 접할 때는 미니멀리즘도 살짝 읽히고 투톤으로 색채를 처리한 경우에는 어떤 리듬감 때문인지 약간의 유희성도 느껴진다.

하지만 오래, 그리고 자세히 집중해서 보면 선이 가늘고 곱상하기만 한 조형성 이상의 것이 감지된다. 그것은 전 작품을 다 봤을 때, 그리고 비슷한 크기로 점 같이 흩뿌려진 것들이 베어진 벼의 밑둥임이 눈에 들어오면서부터다. 여백으로 처리된 흰 타원, 또는 드문드문 존재하는 하얀 덩어리들은 논 한 가운데에 있는, 볏짚을 쌓아 모아둔 흰 비닐이다. 쌀을 탈곡하고 베어진 볏짚들을 다른 동물들이 먹지 못하게 기계로 모아 비닐로 랩핑한 것이다. 나머지들은 벼 밑둥들이다. 가을걷이가 끝난 우리네 논, 밭의 흔한 모습이다. 얼핏 아기자기한 무늬를 디자인한 것만 같아 보이는 이 작품은 우리의 식량을 상징하는 논의 수확 후 광경을 묘사한 것이다. 
READ MORE



생태와 생명 존중, 자연 사랑 그리고 자본주의에 대한 회의 등 작가가 작품을 통해 전하려는 메시지가 분명히 드러난다. 작가의 따뜻하고 섬세한 시각은 흔히 접하기 때문에 무심코 지나치기 일쑤인 수확 끝난 논의 모습에서 자연과 문명 그리고 존재 같은 범우주적인 문제를 읽은 것이다. 조형적 표현 밑에 깔려있는 작가의 문제의식의 크기를 엿볼 수 있다. 생태나 문명 비판 같은 이런 문제들은 오래됐을 뿐만 아니라 워낙 본질적인 사안들이라 한편으로 식상함을 느끼게 하는 면도 있지만 갈수록 위중함을 더해가는 심각한 문제다. 예술작품으로 이런 문제를 다룰라치면 표현이 자칫 진부해지거나 고답적인 것이 되기 십상이다. 이런 문제들과 관련된 메시지를 전함에 있어 어떤 조형성을 구사할 것인가? 스케일이 큰 주제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방법은 무엇일까?

작가의 선택은 형태와 색채의 단순함, 그리고 장식적인 조형이다. 그렇다면 관건이 되는 것은 밋밋함과 가벼움의 극복이다. 작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백 효과를 내는 흰 공간을 이용하고 있다. 조형적인 면에서 볼 때, 이 작품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은 여백 효과를 내는 흰 공간 또는 흰 덩어리이다. 무작위적으로 등장하는 흰 공간은 단조로움을 효과적으로 경감시켜준다. 흰색의 원 형태로 비어있는 이 여백이 단조롭게 반복되는 벼 뿌리의 모습과 묘하게 어울려 훌륭한 장식미를 성취해내고 있는 것이다.

사실, ‘큰 이야기’를 담아내기에 장식미는 힘에 부치는 면이 있다. 장식의 존재 이유가 형식으로만 한정될 때 그렇다. 형식으로만 동원된다면 장식은 보기에 좋은 것 이상의 수준으로 상승하기가 어려운 법이다. 모더니즘 시기에 잠깐 눈길을 끌었던 아르누보(Art Nouveau)가 좋은 예다. 아르누보 그림들은 보기에 아주 예뻤지만, 유미(唯美)적 형식에만 탐닉했던 관계로 그저 예쁘기만 한 미술이 되었다. 그 결과 순수미술보다는 공예, 포스터, 건축 장식 같은 응용미술로 간주되었고 퇴폐로 오인되기도 했으며 주류가 되지 못한 채 단명했다. 내용의 깊이 없이 시각적 쾌감만을 선사하는 디자인 차원의 장식미만으로는 보다 수준 높은 예술적 성취를 이뤄낼 수 없었던 것이다. 내용은 도외시하고 형식에만 매달린 결과이기도 하다.

장식미가 보기에 좋은 것 이상의 수준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시각적 자극에만 매몰되지 않고 작품 주제 등 내용에 봉사하는 것이어야 한다. 메시지 전달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장식미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여기 포함된다. 김형주 작가는 이런 방식으로 장식미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한다. 이 작품에서 눈에 띄는 작가의 탁월함은 시각적 쾌감만으로 그치기 쉬운 장식미로 그런 감각적 만족감 이상의 주제를 표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정색을 하고 나서는 대신에 부담감을 제거한 정반대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묵중함과 심각함을 절제와 무심함으로 처리하고자 한, 어떤 정반대의 역발상이라고나 할까? 무거운 메시지와 가벼운 장식미를 절묘하게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형태를 단순화 하고 색채 또한 탈색된 모노톤으로 처리한 이유도 여기에 있으리라.

이는 주제와 조형의 언밸런스, 또는 내용과 형식 간의 어긋남이다. 이런 의도된 불일치가 가져오는 효과는 오소덕스(orthodox)한 방법을 구사했을 때 보다 훨씬 더 클 수 있다. 슬픔에 젖어 모두들 울고 있는 장례식장에서 방긋방긋 웃고 있는 어린 아기의 모습이 외려 더 큰 슬픔을 느끼게 만드는 것과 같은 이치다. ‘마시멜로’라는 엉뚱한 제목의 능청스러움(?)과 장난스러움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생태, 자연보존 등 전 인류의 미래를 붙잡고 있는 묵직한 문제는 그런 무게에 걸맞는 별도의 특정한 곳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주위에, 문명이 진행되고 있는 이곳에, 자연스럽게 접하는 우리 삶 한가운데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하려는 것이다. 마시멜로가 가볍고 일상적이며 흔히 접하는 문명의 산물이듯. 이렇게 볼 때 여백의 흰 공간이 실상은 볏짚을 모아놓은 대형 흰 비닐이라는 것을 관객이 뒤늦게 알게 될수록 이 작품의 전략은 성공적인 것이 된다.

“과거에는 벼를 추수하면, 쌀은 우리가 먹고, 볏짚은 소에게 주었다. 그리고 논에 떨어진 낱알이나 지푸라기 그냥 둔다. 그것은 철새의 몫이다. 그러나 이젠 모든 볏짚, 지푸라기 한 올마저 양보할 수 없는 농가의 수입원이 되고 말았다. 자연으로부터 받은 혜택을 나누고, 다시 되돌려주는 그런 순환의 고리는 끊어졌다. 인간의 욕심은 이제 어떤 자연과도 나누지 않는다. … 농촌의 늦가을 풍경에는 어디든 커다란 흰 비닐 두루마리 같은 것이 놓여 있다. 그것은 나에겐 낯선 사물이었다. 그러나 그 정체를 알게 된 지금, 이 흰 비닐 덩어리는 자연을 바닥까지 싹 다 끌어모아 경제활동에 이용하는 현실의 상징이자, 이런 현실을 자각하게 만든 표상이 되었다. 땅 위에 마시멜로는 그칠 줄 모르는 인간의 욕심을 상징하는 형태다.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 조형을 고민하다 보니, 흰 비닐에 싸인 건초더미들이 논밭에 무작위로 놓인 것들이 뭔가 모여서 작당하는 것 같았다. 화면에 부분 형태로 잘라서 배치하고 나니 사람이 만든 또 하나의 인격체나 인체같은 느낌도 들었다. 무작위로 논에 펼쳐놓은 마시멜로들이 사람처럼, 인위적으로 놓여진 집단체로 느껴졌다고 할까?” - 김형주 작가 인터뷰 중에서

김형주 작가의 작품에는 이와 같이 자연에 대한 사랑, 그리고 문명의 이기성에 대한 고발과 생명 그 자체에 대한 애정이 담겨있다. 작가는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있으며 인류 보편의 가치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경향은 지난 작품들로부터 지속적으로 일관되고 있다.

특이한 소재나 별난 기법 등을 동원해 기발함으로 승부하는 현대미술의 한복판에서, 김형주 작가는 전통적인 내용미학을 고수하고 있다. 일견 고지식해 보일 수도 있지만 형식미에 매달리기 보다는 깊이 있고 본질적인 문제를 통찰하고 메시지 전달에 비중을 둔다는 점에서 오히려 선이 굵은 창작 태도를 취하고 있다 하겠다. 작가의 이런 스탠스와 문제의식 그리고 철학적 색채의 작품 주제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 같다. 그렇다면 표현 방법에 관심이 간다. 만약 앞으로도 장식미를 동원해 언밸런스한 방식을 유지하고자 한다면 작가의 숙제는 뚜렷해진다. 그럴 경우, 미학적 성공 여부는 거대 담론을 표현해낼 수 있는 개성적인 장식미를 여하히 창발해 내느냐에 달릴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전히 장식미를 활용할까? 작가의 다음 작품이 궁금해진다. ■ 노 영 덕(미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