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Noid178 PROJECT 2025 #1
ABSTRACT WORKSHOP 1
2025.2.14.-3.11.
주관/ 주최 아트노이드178
아트노이드178는 2025년 2월, 봄을 기다리며 < ABSTRACT WORKSHOP 1 >展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아트노이드178은 동시대 추상회화작업들을 소개하고 작가들 각각의 내밀한 조형 언어에 대해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서로의 거리감을 좁혀나가기 위한 공감과 도약의 기회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1920년대 레프 쿨레쇼프가 만들었던 쿨레쇼프 워크숍처럼, 작가들과 기획자, 미학자들이 함께 ‘한국 동시대 추상회화의 무엇이 자신을 특별하게 만드는지’에 대해, 추상회화의 언어에 대해 서로 발전적인 계기를 만들어 가기를 기대합니다. 이 전시를 통해 추상작업을 해오고 있는 작가들의 유니크한 시간의 이격이나 구성적 맥락에 대한 감각들을 어떻게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지에 대해 함께 고민을 나누며, 의미있는 궤적을 만들어 갈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를 위해 향후 아트노이드178은 매년 이 시기에, 주목해야 할 동시대 젊은 추상회화 작가들과 함께 회차를 거듭해 가며 ABSTRACT WORKSHOP Ⅱ, Ⅲ으로 이어 나가며 연구와 아카이빙, 그리고 전시의 형태로 발전시켜 나가고자 합니다.
READ MORE
< ABSTRACT WORKSHOP 1 >展은 감각하는 행위와 그것을 표현하고자 하는 행위 사이에서 발생하는 회화적 요소들을 중첩하고 교차시키며 새로운 형식을 창안해내고 있는 김만순, 김창영, 손예인, 양문모, 최인아 작가의 작품들로 구성하였습니다. 이들은 일상의 삶 속에서 매 순간 생성되는 주관적인 감정들과 그 축적인 기억의 편린, 직관적으로 포착해낸 비언어적인 감각들을 화면 위에 배치하고, 쌓아 올려 다수의 층위들을 만들어냅니다. 화면 위에 수많은 축적되고 교차된 층위들은 색과 면, 그리고 선으로 순수하게 자신의 잠재력을 열어냄과 동시에 서사의 잔상들을 작가는 지워 나갑니다. 그리고 거듭 그것들을 다시 덮고 또 다시 밀어내는 작업을 통해 마치 3차원적 실재의 두께를 모두 소거시키려는 듯, 화면 위에는 순수한 평면성으로 완성된 시간의 간극이 생겨납니다. 이 결과물은 어떤 이의 눈에는 또 다른 서사와 연결되는 듯 보일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새로운 생명력을 얻은 또 하나의 형식이자, 새로운 언어의 발아입니다. 이 언어는 새로운 방식으로 읽어내는 관람자와의 관계 속에서 비로소 생명력을 얻게 됩니다.
추상작업을 위한 다섯 작가의 실험과 탐구의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새로운 형식과 언어를 아트노이드178에서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글/ 아트노이드178 대표 박겸숙)